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물18

자귀나무 꽃 , 합환화, 합혼수, 합환목,공작나무, 소밥나무, 소쌀나무 자귀나무 꽃 , 합환화, 합혼수, 합환목,공작나무, 소밥나무, 소쌀나무 분류 :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낙엽활엽 소교목 아명: 합환화, 합혼수, 합환목,공작나무, 소밥나무, 소쌀나무 영문명: silk tree, mimosa tree 학명 : Albizzia julibrissin 꽃말 : 환희,'가슴두근거림' 높이:2m~5m 개화시기 : 7월 원산지 및 자생지: 한국 전국 각처 산과들 식용여부: 꽃은 술에 담궈 먹기도 하고, 꽃잎을 가루로 내어 먹기도 한다. 잎을 차로 달여 마시면 부부사이의 금실이 좋아지고 이혼을 하지 않는다는 속설이 있음. 약용 효능 : 심신불안,우을증,불면증에 효과. 자귀나무 껍질은 종기,습진,짓무른 곳, 타박상등의 피부병과 외과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 자귀나무의 꽃은 기관지염.. 2016. 5. 19.
초롱꽃(자반풍령초), Campanula punctata Lam. 초롱같이 생겨서 초롱꽃 여름에 피는 꽃. 나물로 먹을 수 있다. 초롱꽃 초롱같이 생겨서 초롱꽃 여름에 피는 종모양의 꽃. 분류 : 쌍떡잎식물강-초롱꽃목-초롱꽃과 여러해살이풀 초롱꽃 아명: "자반풍령초(紫斑風鈴草)", 산소채(山小菜) 초롱꽃 영문명: Campanula punctata Lam. 초롱꽃 꽃말 : 충실과 정의 높이:40~100cm 개화시기 : 6월~8월 원산지 및 자생지: 한국,중국,일본 식용여부: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약용 효능 : 초롱꽃 전체는 진해,거담,청열,지통,해독에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태 환경 : 햇볕이 잘 드는 들이나 낮은 산에서 자생. 초롱꽃을 도심에서 보기는 약간 힘들지만, 산지의 풀밭에서 종종 만날 수 있는 꽃이다. 방향성 식물로 향이 있다. 열매는 9월에 익는다. 금강초롱꽃, 섬초롱꽃과 비슷하나, 금강초롱꽃은 꽃이 보.. 2016. 5. 18.
쓰레기종량제 봉투의 음식물 쓰레기를 뒤지는 길 고양이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음식물 쓰레기를 뒤지는 길 고양이 점심식사를 하고 회사로 돌아오던 중에 길 옆에서 뭔가 빠스락 거리길래 쳐다봤더니, 길 고양이 하나가 배가 많이 고픈지, 남의집 쓰레기봉투를 뜯어서 먹을 것을 찾고 있다. 딴에는 배가 고파서 그랬겟거니 생각하지만... 도대체 종량제 봉투에 고양이가 탐낼만한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버린 사람들은 뭘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고양이란 녀석이 먹을게 있어야만 쓰레기 봉투를 뜯는 것은 아니리라.... 음식물 쓰레기 배출 규칙에는 분명히 동물의 뼈 등은 일반쓰레기로 분류해서 버리라고 했으니, 이 무더운 여름에 치맥족들이 먹고 버리는 닭 뼈 또한 길 고양이의 목표가 될 터... 단면만 갖고 누군가를 비난하기는 힘들다. 그나저나...쓰레기 처리에 .. 2016. 5. 17.
5월, 6월에 피는 노란꽃 - 루드베키아 꽃말 금계국, 기생초와 헤깔리지마~ 금계국과 닮은 루드베키아 기생초와 헤깔리지마~ 쌍떡잎식물 - 초롱꽃목 - 국화과 - 해바라기족 - 원추천인국속 - 루드베키아 루드베키아도 6월에 피는 노란꽃이다. 국화과에 속하고, 금계국 처럼 역시 북미가 원산지이다. 종류는 30종이 넘는다. 금계국과 또 닮은 구석은 두해살이 풀이란 점이다. 물론 종류에 따라 여러해살이도 있다. 한 번 심으면 그 자리에 루드베키아 씨앗이 떨어져서 계속 자라고 군락을 형성해간다. 루드베키아의 꽃말: 영원한 행복. 이렇게 그냥 노란색인 루드베키아도 있고, 오른쪽처럼 가운데가 진한 주황색으로 변하는 루드베키아도 있다. 해바라기를 닮은 듯, 묘하게 생긴 루드베키아. 2016. 5. 16.
- 7월 6월에 피는 꽃 주황색꽃 하늘나리? 참나리? - 서울시내 도로변 꽃 - 참나리 아님, 하늘나리 아님, 솔나리 아님, 말마리도 아님. 넌 도대체 뭐니? 원추리 효능 7월 6월에 피는 꽃 주황색꽃 하늘나리? 참나리? - 서울시내 도로변 꽃 - 참나리 아님, 하늘나리 아님, 솔나리 아님, 말마리도 아님. 넌 도대체 뭐니? 원추리 효능 2016. 5. 14.
`뽕나무 열매 오디의 효능 및 뽕나무 잎의 효과 이름이 웃긴 뽕나무. 뽕나무 열매 오디의 효능과 효과 분류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쐐기풀목- 뽕나무과 낙엽활엽교목 아명: 뽕나무 열매의 별칭은 오디. 영문명: mulberry tree (학명)Morus alba L. 뽕나무 꽃말 : 지혜, 못이룬 사랑 높이: 3~4m 개화시기 : 6월 원산지 및 자생지: 중국원산지 - 온대 및 아열대지방 식용여부 : 뽕나무 잎은 짱아찌, 뽕나무잎 나물 등으로 식용가능. 뽕나무 열매는 오디로 소화 촉진 등에 효능이 있음. 뽕나무 나무껍질은 약용으로 활용하기도 하고, 제지용 자원으로도 사용됨. 뽕잎의 가장 큰 자원활용은 양잠에서 누에의 먹이로 활용됨. 약용 효능 : 오디의 효능은 강장제, 내장 특히 간과 신장 기능 회복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갈증 해소와 관절을 부.. 2016. 4. 30.
반응형